"악역이라고 말하지만, 악역이 아닌 샬럿"
"이상을 추구하는 밝은 에너지 닮아"
"휴식기 마음 돌린 아름다운 음악"

[뉴스컬처 윤현지 기자] 누군가의 길잡이가 되어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누군가는 의문을 품을 수도 있고, 원치 않았다고 말할 수도 있다. 뮤지컬 ‘브론테’의 샬럿은 악역을 자처하면서도 자매의 길잡이가 돼 주었다. 그것이 자신의 몫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허혜진, 이봄소리(왼쪽부터).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허혜진, 이봄소리(왼쪽부터).

뮤지컬 ‘브론테’는 여자가 글을 쓰는 것이 허락되지 않던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가난한 목사의 딸로 태어나 죽음과 병이 더 가까웠던 우울한 삶이었지만, 그 속에서도 이야기하기를 멈추지 않았던 샬럿, 에밀리, 앤 브론테 자매의 삶으로부터 출발해 상상을 더해 만든 뮤지컬이다.

브론테 자매들 중 살아서 인정받은 유일한 작가이자 ‘제인 에어’, ‘빌레트’ 등의 대표작을 남긴 샬럿 역의 강지혜, 이봄소리, 허혜진 배우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쉴 새 없이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서로를 향한 칭찬을 아끼지 않는 세 사람은 단연코 극을 이끄는 ‘햇살’ 그 자체였다.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브론테’의 샬럿이라는 캐릭터를 구축하며 가장 중점에 뒀던 부분은 어디인가.

강지혜(이하 강) 모든 작품을 할 때 제일 중점에 둔 부분은 스스로 생각해낸 것보다 연출이 보여주고자 하는 목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성격을 입혀야 겠다는 것보다 가장 기본적인 걸 생각한다. 이 씬에서 뭘 보여줘야 하고, 어떤 감정이어야 하는지 분명하다면 인물이 명확해지는 것 같다.

이봄소리(이하 봄) 작가와 연출과 이야기를 정말 많이 나눴다. 그래서 초반에 걱정됐던 것이 세 자매가 다 사랑스러워 보여야 하는데 샬럿만 사랑을 못 받을까 걱정했다. 그런 시기가 있었지만 작가와 연출이 ‘더 독선적이고 오만해도 된다. 그만큼 뒤에서 반성하는 가사와 대사가 나오니 괜찮다’고 말해주기도 했다.

뒤에서 후회를 하는데 앞부분이 제대로 쌓이지 않으면 너무 급하게 들어가는 것처럼 보여 서사가 쌓이지 않고 관객이 공감하지 못할까 봐 걱정했다.

허혜진(이하 허) 착하게만 가면 뒤에서 후회를 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적정선을 찾기 위해 굉장히 노력했다. 스스로 악역이라고 말하지만 결론적으로 악역은 아니어야 했다. 그래서 가사 수정도 굉장히 많이 됐고 감정의 농도가 0%에서 100%까지 모두 시도해봤다.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허혜진.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허혜진.

본인의 실제 성격과 샬럿을 비교해본다면 어떤가.

나는 극 초반에 샬럿이 많이 녹아든다. 장난치고 자매들과 격 없이 지낼 때 내가 나오는 것 같다.

나는 연습할 때 모두가 ‘샬럿은 그냥 이봄소리 아니야?’라고 했다. 장면 연습할 때도 ‘그냥 해, 일단 넘어가. 왜 (내가) 너무 독선적이고 오만하니?’ 이렇게 장난치곤 했다. 나는 어떤 목표가 정해지면 가타부타 말을 더 안 붙이고 결과로 가는 걸 좋아한다. 그런 면이 샬럿에게도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나중에 후회도 많이 하지 않나. 나도 후회를 많이 한다.

나에겐 독선적인 면이 없다고 생각했다. 배우들 집에 놀러가서 머리끈을 빌릴 때 이미 머리를 묶으면서 ‘이것 좀 써도 돼?’라고 묻는다던가, 물건을 쓰고 제자리에 안둔다든가 하는 행동을 하더라. 배우들이 내 성을 따서 강도라고 부르기도 했다.(웃음)

허혜진 배우는 사람들을 잘 맞춰주는 편이어서 샬럿을 하기 힘들지 않을까 했는데도 강단이 있더라. 샬럿은 이상을 추구하고 밝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인물인데, 셋 다 밝은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이 모였다.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이봄소리.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이봄소리.

형제자매가 있나, 그 경험이 ‘브론테’ 연기에 도움이 되었나.

나는 외동딸이다. 그런데 어릴 때 사촌 동생과 함께 살았다. 그중 내가 맏이여서 동생들 통제를 많이 했다. 사촌 동생이 또래보다 몸집이 작았는데 누가 괴롭히는 걸 발견했다. ‘쟤는 나만 괴롭힐 수 있는데?’하는 마음으로 괴롭힌 친구를 쫓아가서 복수해준 기억도 있다. 그래서 샬럿의 기분을 잘 표현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나는 언니에게 거의 업혀 자랐다. 나이는 두 살 차이밖에 안 나지만.(웃음) 학교를 다닐 때 학생 작품 때문에 늘 밤을 새고 그랬다. 그러면 교양 공부를 할 시간이 없어 공부 잘하던 언니가 대신 영어 과제를 해주고 그랬다. 어머니가 어릴 때부터 나쁜 말을 못하게 키우셔서 욕도 안 하면서 자랐다. 하루는 언니랑 싸우다가 험한 말이 나왔는데 서로 너무 놀라서 어머니에게 비밀로 하자고 했다. 누가 누구에게 한 건지 기억은 안나는데 그때 그 말이 서로에게 했던 가장 나쁜 말이었을 거다. ( 정말 무해하다.)

나는 친오빠와 어릴 때부터 팔짱 끼고 다니고, 데이트 가고 그랬다. 비 오면 데리러 오고 밥해주실 분이 없으면 떡볶이집 가서 나눠 먹고 그랬다. 중국 유학 가서도 오빠 여자친구와 함께 데이트를 하기도 했다. 내가 중국어를 못해서. 지금 생각하면 미안하다.(웃음)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다른 역할을 해보고 싶진 않나.

리딩 때 당연히 앤인 줄 알았다. 내가 앤 같다기보다는 그런 역할을 많이 해왔어서.

중재하는 느낌이긴 하다. 넘버 ‘찢겨진 페이지처럼’의 장면을 연습할 때 지혜 배우가 없었어서 어떻게 할지 궁금했다.

지금 공연 올라간 후 많이 무서워졌다.

아이고 무서워.(웃음) 다른 역할을 한다면 만장일치로 에밀리를 하고 싶어하지 않을까 싶다.

나도 평소에 좀 지르는 연기를 많이 해서 에밀리보다 따사로운 느낌의 샬럿을 하게 돼 너무 좋다고 말했었다. 그런데 이제 샬럿을 하다 보니 고음이 제일 많더라. 이건 내 계산과 다르다고 생각했다.(웃음)

연습할 때 다들 에밀리를 부러워했다. 에밀리는 딱 치고 빠진다. 멋들어진 거 다 하고 깔끔하게 하늘로 간다. 그런데 샬럿은 노래는 노래대로 감정을 쏟아내고 대사는 왜 이렇게 많은지. 말을 시작하면 대사가 네 줄이다.(웃음) 앤 인터뷰도 봤다. 앤들의 고충은 인정이다. 그들의 힘듦이 있었다. 하지만 샬럿의 노래도 불러보길 바란다. 샬럿은 전부 다 높은 음이다.

음악 얘기가 나온 김에, ‘브론테’의 음악을 처음 들었을 때 어땠나.

처음에 ‘브론테’ 제안받기 전에 휴식기를 가지려 했다. 하지만 대본과 음악을 들으니 이건 해야겠다는 마음을 가졌다. 내가 하지 않으면 후회할 것 같았다. 주변에서 이게 잘 되면 다음에 또 올 것이고, 이거 하나 안 한다고 삶이 바뀌진 않을 것이다 했지만 한 귀로 흘려서 하게 됐다.

나 역시 음악을 듣는 순간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가 했을 때 질투 날 것 같았다. 함께 하는 배우도 너무 좋았다.

리딩 때 음악을 들었을 땐 초반 다섯 곡만 나와 있었다. 음악이 정말 좋았는데 1년 뒤 후반부까지 듣고 나니 ‘록 뮤지컬인가?’ 싶더라. 작곡가에게 ‘나 못한다’고 말할 정도였는데, 그만큼 신경을 쓰고 고민도 하고 욕심도 있었다. 그 욕심을 낸 만큼 결과물이 좋았다.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허혜진, 이봄소리(왼쪽부터).
뮤지컬 '브론테'에서 샬럿 역을 맡은 강지혜, 허혜진, 이봄소리(왼쪽부터).

가장 좋아하는 넘버를 꼽아본다면.

‘찢겨진 페이지처럼’ 할 때를 제일 좋아한다. 고음을 크게 낼 때 갑자기 뻥 뚫리는 기분이다. 솔로곡 할 때는 만신창이일 때 힘들다고만 생각하는 것 같고 이 넘버는 공연을 하면서 나도 모르게 ‘샬럿에 이입했구나’를 느껴진다. 넘버를 부르기 전부터 불만이 쌓여있던 상태다. 그래서 노래를 부르는 게 ‘우리가 갈라지더라도 이 말을 해야만 해’하는 심정이다. 그래서 표현하고 나면 속이 시원하다. 그래서 이 넘버를 기다리고 있고 한 방을 보여주고 싶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샬럿으로 감정이입을 많이 해서 그런 것 같다.

나는 반대다. ‘찢겨진 페이지처럼’을 부를 때 정말 속상하다. 소리치고 있는 스스로가 싫다. 해소가 안 되고 날 억누르니까 눌리지 않으려고 애쓴다. 반대로 끝나고 글 쓰고 밴드 음악이 나오는데 거기서 ‘그래, 내가 이렇게 힘들었지만 이게 맞았다’고 생각한다.

나랑 다 반대다. 나는 앞에서 시원하고 그 뒤부터 점점 바윗덩이가 날 누르는 느낌이다.

그래서 나갈 때 웃으며 나간다. 그전까진 글을 못 쓴다. 이상한 편지 받은 이후 글을 못 쓰고, 써도 글이 손에 잘 안 잡힌다. 밴드 음악이 나오는 시퀀스 어느 순간부터 글이 딱 써진다. 글을 내고 아이들의 평론지를 보고 다시 꺾이는 거다.

개인 성격도 있는 것 같다. 저질러 놓고 할 말 다 하고 대차게 나왔는데 글을 완성했는데도 ‘이게 맞나’ 하는 생각이 들고 뒤에도 하나도 안 기쁘고 평가받을 때도 ‘너희가 뭘 알아’라는 생각이다. 그때 ‘난 너희에게 인정받고 싶었던 게 아니야’하고 깨닫는 것 같다. 그런데 자매들 작품 욕먹고 그러면 통쾌해할 수도 있는데 이 감정이 뭔가 혼란스러워하는 것 같다.

실제 ‘제인 에어’가 경계를 두지 않았던 인물이다. 여자로서 절제해야 하는 것도 있고 아버지가 훈계하는 말에 대들기도 하고 공상도 많아서 글 쓸 때 제일 자유로웠던 것 같다. 특히 ‘제인 에어’가 나오자마자 베스트 셀러가 됐지만 그 시기에 차례로 가족을 보낸 시기라 마음이 많이 무너져 내렸을 것이다. 그래서 ‘이상한 편지 리프라이즈’가 제일 좋다. 왜냐면 그 안에서 아이들에게 ‘우리 되게 찬란했다’고 말하고 내가 후회해서 편지를 쓰는 마음도 있고, 무너져 내렸는데 앤과 에밀리를 다시 만나서 이 아이들을 인정하는 이야기를 한다. 이 넘버가 가장 복합적인 샬럿의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에 이 곡을 부를 때 감정이 제일 자연스러웠다. ‘시원하다’ 이런 구체적인 감정이 아니라 그냥 흘러나오는 감정이 느껴졌다.

(인터뷰②에서 계속)

뉴스컬처 윤현지 yhj@knewscor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컬처 (NEWS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